본문 바로가기

[모르면 알자]/맞춤법

[우리말 바로 쓰기] 던지/든지

-던지'와 '-든지'는 의미가 다르므로 구별해서 써야 합니다.

'-던지'와 '-든지'는 소리가 다를 뿐 아니라 다음과 같이 형태, 의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든지'는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차이가 없는 둘 이상의 일을 나열함을 나타내는 보조사[각주:1]"입니다. 이때의 '든지'는 '든'으로 쓸 수 있습니다.


(1) ㄱ. 배든지 사과든지 마음대로 먹어라.
ㄴ. 배든 사과든 마음대로 먹어라.

 

또한'-든지'는 "나열된 동작이나 상태, 대상들 중에서 어느 것이든 선택될 수 있음을 나타내거나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이 일어나도 뒤 절의 내용이 성립하는 데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각주:2]"로 쓰이기도 합니다. 이때의 '-든지'도 '든'으로 쓸 수 있습니다.

 

(2) ㄱ. 가든지 오든지 마음대로 해라.
ㄴ. 가든 오든 마음대로 해라.

 

 


 

 

반면에 '-던지'막연한 의문이 있는 채로 그것을 뒤 절의 사실이나 판단과 관련시키는 데 쓰는 연결 어미입니다.

 

(3) ㄱ. 그날 저녁 누가 왔던지 생각이 납니까?
ㄴ. 그날 따라 날씨는 왜 그리 춥던지.
ㄷ. 얼마나 울었던지 눈이 퉁퉁 부었다.

이밖에 '-더'와 결합하여 지난 일을 말하는 형식으로는 '-더구나, -더구려, -더구먼, -더군, -더냐, -더니, -더니라, -더니만, -더라, -더라면, -던, -던가, -던걸, -던고, -던데, -던들' 등이 있습니다.



  1. <언어> 체언, 부사, 활용 어미 따위에 붙어서 어떤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 ‘은’, ‘는’, ‘도’, ‘만’, ‘까지’, ‘마저’, ‘조차’, ‘부터’ 따위가 있다. [본문으로]
  2. <언어> 어간에 붙어 다음 말에 연결하는 구실을 하는 어미. ‘-게’, ‘-고’, ‘-(으)며’, ‘-(으)면’, ‘-(으)니’, ‘-아/어’, ‘-지’ 따위가 있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