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과 '하다'가 이어져 나타나는 구성의 경우 앞에 오는 말에 따라 띄어쓰기가 달라집니다.
(1) ㄱ. 아직 쓸 만한/쓸만한 걸 왜 버려?
ㄴ. 화를 낼 만하니까/낼만하니까 화를 내겠지.
《한글 맞춤법》제47 항에서는 보조 용언에 대해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경우에 따라 붙여 쓰는 것도 허용하면서 어원적으로 의존 명사에 '하다, 싶다' 등이 붙은 '듯하다, 만하다, 법하다, 성싶다, 척하다' 등을 보조 용언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알 만하다'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알만하다'와 같이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알 만은 하다', '알 만도 하다'와 같이 중간에 조사가 들어가면 띄어 써야 합니다.
(2) ㄱ. 강아지가 송아지만 하다.
ㄴ. 집채만 한 파도가 밀려온다.
이러한 경우의 '만 하다'를 접미사로 다루는 일도 있지만 '만'과 '하다' 사이에 보조사와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 '못'이 끼어드는 경우가 있으므로 '만'과 '하다'로 나누어지는 구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형이 아우만도 못할까?
출처 네이버- 우리말 바로쓰기 , 국어사전 / 국립국어원 표준어 규정.
으아아니! 난 여태껏 '할 만 해?' '할만 해?' 이런 식으로 띄어 썼는데 '할만해?' '할 만해?' 로 쓰는 게 옳은 표현이었구나..
ㅠㅠㅠㅠㅠ 부끄럽다
'[모르면 알자]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줄표와 쉼표 사용법 (2) | 2013.07.14 |
---|---|
[띄어쓰기] '한번'과 '한 번' (+ '~듯하다'와 '-듯 하다') (1) | 2013.07.02 |
[띄어쓰기] '더 이상', '좀 더', '한번 더' (0) | 2013.07.02 |
[띄어쓰기] '몇 개' (단위를 나타내는 말) (0) | 2013.06.20 |
[우리말 바로 쓰기] 던지/든지 (2) | 2013.06.20 |
[띄어쓰기] 하다/되다/있다 (0) | 2013.06.20 |
[띄어쓰기] -할 수 있다 (0) | 2013.06.20 |
[띄어쓰기] ~것 같다 (0) | 201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