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르면 알자]/맞춤법

[띄어쓰기] '-ㄹ 만하다'와 '~만하다' / 보조 용언 (듯하다, 만하다, 법하다, 성싶다, 척하다 등)

'만'과 '하다'가 이어져 나타나는 구성의 경우 앞에 오는 말에 따라 띄어쓰기가 달라집니다

먼저 앞에 오는 말이 위의 경우처럼 용언의 관형형[각주:1]일 때 '만하다'는 보조 용언입니다. 이때는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되 붙여 쓸 수 있습니다.
(1) ㄱ. 아직 쓸 만한/쓸만한 걸 왜 버려?
ㄴ. 화를 낼 만하니까/낼만하니까 화를 내겠지.
 
《한글 맞춤법》제47 항에서는 보조 용언에 대해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경우에 따라 붙여 쓰는 것도 허용하면서 어원적으로 의존 명사에 '하다, 싶다' 등이 붙은 '듯하다, 만하다, 법하다, 성싶다, 척하다' 등을 보조 용언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알 만하다'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알만하다'와 같이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알 만은 하다', '알 만도 하다'와 같이 중간에 조사가 들어가면 띄어 써야 합니다. 

한편 '만하다' 앞에 체언[각주:2]이 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 '만하다'는 하나의 단위가 아니라 보조사 '만'과 용언 '하다'로 나누어집니다.
(2) ㄱ. 강아지가 송아지만 하다. 
ㄴ. 집채만 한 파도가 밀려온다.
이러한 경우의 '만 하다'를 접미사로 다루는 일도 있지만 '만'과 '하다' 사이에 보조사와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 '못'이 끼어드는 경우가 있으므로 '만'과 '하다'로 나누어지는 구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형이 아우도 못할까?

 



출처    네이버- 우리말 바로쓰기 , 국어사전 / 국립국어원 표준어 규정.

으아아니! 난 여태껏 '할 만 해?' '할만 해?' 이런 식으로 띄어 썼는데 '할만해?' '할 만해?' 로 쓰는 게 옳은 표현이었구나..
ㅠㅠㅠㅠㅠ 부끄럽다



 


  1. <언어> [같은 말] 관형사형(관형사처럼 체언을 꾸미는 용언의 활용형) / *관형사 : <언어> 체언 앞에 놓여서, 그 체언의 내용을 자세히 꾸며 주는 품사. [본문으로]
  2. <언어> 문장에서 주어의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명사, 대명사, 수사가 있다. [본문으로]